cs/네트워크4 네트워크 계층(3계층) 네트워크 계층의 역할 - 다른 네트워크 대역까지 어떻게 데이터들 전달할지 제어하는 일을 담당. - 발신에서 착신까지의 패킷 경로를 제어. - IP Address, Subnet mask, Gateway Address 등을 기반으로 통신 -> IP Address: 현재 PC에 할당된 주소. -> Subnet mask : IP Address에 대한 네트워크의 대역을 규정 -> Gateway Address : 외부와 통신할 때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출입구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 - ARP Protocol : IP Address를 MAC Address로 변환하는 역할. - IPv4 Protocol : WAN 통신 시 사용. - ICMP Protocol : 서로 통신되는지 확인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. Classf.. 2023. 9. 12. 데이터 통신 (2계층) 2계층의 역할 - 같은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여러 장비들 중에서 어떤 장비가 타 장비에게 보낼 데이터를 전달하는 연결 통로 역할. - 오류 제어(데이터에 오류는 없는지 체크), 흐름 제어(어디서 어디로 보내는지) 수행 - 타 네트워크와 통신이 필요할 때는 3계층이 도와주어야 한다. 2계층에서 사용하는 주소 - LAN 통신 시 MAC 주소 사용. 프로토콜 - Ethernet -> 출발지 주소(6 byte), 목적지 주소(6 byte), 이더넷 타입(2 byte), 데이터(46-1500 byte)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. -> 이더넷 타입 : 0x0800(IPv4), 0x0806(ARP), 0x86DD(IPv6) ... 2023. 7. 31. 네트워크 계층 모델 TCP/IP 모델 - 1960년대 말 미 국방성의 연구에서 시작되어, 1980년대 초 프로토콜 모델로 공개. -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기종의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어 각 네트워크 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 필요했다. - 전송제어 프로토콜(TCP,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) 과 인터넷 프로토콜(IP, Internet Protocol)을 의미. - 현재 인터넷에서 대부분 컴퓨터 간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때 쓰이는 프로토콜의 모음. OSI 7 계층 - 1984년 네트워크 통신을 체계적으로 다루는 ISO에서 표준으로 지정한 모델 -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데이터 자체의 흐름을 구간 별로 나누어 놓은 것. OSI 7 계층별 프로토콜 - 7계층(응용) : HTTP(웹 통신), .. 2023. 7. 26. 네트워크란 무엇인가 네트워크 - 노드들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디지털 전기 통신망의 하나이다. - 분산되어 있는 컴퓨터를 통신망으로 연결한 것. - 노드는 네트워크에 속한 컴퓨터 또는 통신 장비를 이르는 말. 인터넷 - 문서, 그림 및 영상과 같은 여러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전세계를 연결하는 가장 큰 네트워크. - www는 인터넷이 아님. 웹과 관련된 서비스를 공유하는 것. 네트워크 분류 1. 크기에 따른 분류 - LAN(Local Area Network) 사무실, 학교 등 동일한 물리적 공간에 존재하는 장치들의 네트워크를 의미한다. 여러 LAN을 연결하여 WAN 을 형성할 수 있다. - WAN(Wide Area Network) 멀리 있는 지역을 한데 묶은 네트워크. 가까운 지역끼리 묶인 LAN과 LAN을 다.. 2023. 7. 24. 이전 1 다음 반응형 LIS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