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cs/네트워크

네트워크 계층 모델

by 귀월 2023. 7. 26.

TCP/IP 모델

 - 1960년대 말 미 국방성의 연구에서 시작되어, 1980년대 초 프로토콜 모델로 공개.

 -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기종의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어 각 네트워크 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 필요했다.

 - 전송제어 프로토콜(TCP,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) 과 인터넷 프로토콜(IP, Internet Protocol)을 의미.

 - 현재 인터넷에서 대부분 컴퓨터 간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때 쓰이는 프로토콜의 모음.

 

OSI 7 계층

 - 1984년 네트워크 통신을 체계적으로 다루는 ISO에서 표준으로 지정한 모델

 -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데이터 자체의 흐름을 구간 별로 나누어 놓은 것.

 

OSI 7 계층별 프로토콜

 - 7계층(응용) : HTTP(웹 통신), SMTP(전자우편), IMAP, POP, TELNET....

 - 6계층(표현) : SNM, AFP, XDR

 - 5계층(세션) : NetBIOS

 - 4계층(전송) : TCP, UDP, SPX

 - 3계층(네트워크) : IP, ICMP, ARP...

 - 2계층(데이터링크) : 이더넷, 무선랜 ...

 - 1계층(물리) : 전선, 전파, 광섬유, 동축케이블...

 

TCP/IP(실무) vs OSI 7(논리)

유사점 차이점
 - 계층적 네트워크 모델이다.
 - 패킷 스위칭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.
 - 계층 수 차이.
 - OSI는 역할 기반, TCP/IP는 프로토콜 기반
 - OSI는 통신 전반에 대한 표준, TCP/IP는 데이터 전송기술 특화

 

 

패킷

 - 네트워크 상에서 전달되는 데이터를 통칭.

 - 하나의 블록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.

 - 여러가지 제어 정보와 사용자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.

   ex) 사용자의 요청 정보, 출발지 및 목적지 IP, 프로토콜 등

 - 각 계층을 거칠 때 사용자가 보내는 데이터(payload)에  필요한 프로토콜을 헤더로 붙여서 전송.

  -> 캡슐화(Encapsulation)

 - 패킷 수신자는 각 계층을 거칠 때 프로토콜을 하나씩 확인하면서 데이터를 체크.

  -> 역캡슐화(Decapsulation)

 

반응형
LIST

'cs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네트워크 계층(3계층)  (0) 2023.09.12
데이터 통신 (2계층)  (0) 2023.07.31
네트워크란 무엇인가  (0) 2023.07.24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