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류 전체보기68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- 객체란? -> 주체가 아닌 것. 주체가 활용하는 것. -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-> 주체가 사용하는 것들을 객체화하여 프로그래밍하는 것.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장점 - 모듈화된 프로그래밍 -> 신뢰성 높은 프로그래밍 가능. -> 추가, 수정, 삭제가 용이. -> 재사용성이 높다. 객체, 클래스, 인스턴스, 프로그램 오브젝트 - 객체가 갖는 속성과 특징은 추상화되어 클래스로 정의. - 클래스는 구체화되어 프로그램의 인스턴스와 오브젝트가 된다. - 프로그램의 클래스와 오브젝트 -> 클래스 : 객체의 설계도. 직접 사용할 수 없고, 직접 사용되는 객체를 만들기 위한 틀 -> 객체(instance, object) : 클래스를 데이터 타입으로 메모리에 생성된 것. 객체 생성과 메모리 -.. 2023. 12. 20. 자바 기본 Variable - 자료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공간으로 타입에 따라 크기가 달라짐. ex) int(4byte), boolean(1byte), float(4byte)... Type - 메모리 공간에 값을 할당하기 위한 하나의 규격. - 타입은 2가지 종류로 나뉜다. -> 기본형(Primitive Type) : 미리 정해진 크기의 데이터 표현이다. 변수 자체에 값을 저장. -> 참조형(Reference Type) : 크기가 미리 정해질 수 없는 데이터의 표현. 실제 값을 참조할 수 있는 주소만 저장. 기본 타입의 크기 구분 Type bit 값 논리형 boolean 정수형 byte 8 -2^7 ~ 2&7-1 (-128 ~ 127) short 16 -2^15 ~ 2^15-1 (-32768 ~ 32767) in.. 2023. 12. 6. 다익스트라 알고리즘(Dijkstra Algorithm) 다익스트라 알고리즘? - 한 정점에서 다른 정점까지의 최단 경로를 구하는 알고리즘. - 도착 정점 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정점까지의 최단 경로도 구할 수 있다. - 간선 가중치가 양수인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다. -> (음수 가중치를 고려해야 하는 경우 벨만-포드, 플로이드-워셜 알고리즘 사용) 수행 과정 1. 시작 정점과 끝 정점 설정. 2. 현재 정점과 연결된 정점 중 방문하지 않았고, 간선 가중치가 가장 작은 정점을 선택. 3. 선택된 정점을 기준으로 간선 비용을 계산하여 최단 거리 테이블에 기록. 4. 2와 3의 과정을 반복하여 끝 정점까지의 비용을 모두 계산 구현 BOJ 1753 최단 경로 1. 각 정점간 방문 및 최단 거리를 확인할 배열을 선언. 2. 연결된 정점 중 간선 가중치가 가장 작은 .. 2023. 9. 16. 네트워크 계층(3계층) 네트워크 계층의 역할 - 다른 네트워크 대역까지 어떻게 데이터들 전달할지 제어하는 일을 담당. - 발신에서 착신까지의 패킷 경로를 제어. - IP Address, Subnet mask, Gateway Address 등을 기반으로 통신 -> IP Address: 현재 PC에 할당된 주소. -> Subnet mask : IP Address에 대한 네트워크의 대역을 규정 -> Gateway Address : 외부와 통신할 때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출입구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 - ARP Protocol : IP Address를 MAC Address로 변환하는 역할. - IPv4 Protocol : WAN 통신 시 사용. - ICMP Protocol : 서로 통신되는지 확인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. Classf.. 2023. 9. 12. props props 란 - properties의 준말로, 컴포넌트에 값을 전달할 때 사용한다. - 전달하고자 하는 컴포넌트 내부에 props 이름과 값을 할당. - 하위 컴포넌트에서 props.(props명) 방식으로 해당 변수를 사용할 수 있다. props가 여러 개인 경우 - 위와 같은 방식으로 여러 값을 전달할 수 있다. 배열 디스트럭처링 - 배열 디스트럭처링을 사용하여 코드를 좀 더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다. props의 default 값 - 위와 같이 props 변수에 값을 할당하면 컴포넌트에서 props 값을 입력하지 않았을 때 num은 12345, name은 bbb로 할당된다. 2023. 8. 5. 데이터 통신 (2계층) 2계층의 역할 - 같은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여러 장비들 중에서 어떤 장비가 타 장비에게 보낼 데이터를 전달하는 연결 통로 역할. - 오류 제어(데이터에 오류는 없는지 체크), 흐름 제어(어디서 어디로 보내는지) 수행 - 타 네트워크와 통신이 필요할 때는 3계층이 도와주어야 한다. 2계층에서 사용하는 주소 - LAN 통신 시 MAC 주소 사용. 프로토콜 - Ethernet -> 출발지 주소(6 byte), 목적지 주소(6 byte), 이더넷 타입(2 byte), 데이터(46-1500 byte)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. -> 이더넷 타입 : 0x0800(IPv4), 0x0806(ARP), 0x86DD(IPv6) ... 2023. 7. 31. 이전 1 2 3 4 ··· 12 다음 반응형 LIST